“간혹 인디고 Texas hold ’em이 못 알아봐도 엄마는 구분”

내가 너로 살게. 넌 나로 살아.”

최근 인기리에 종영한 tvN 드라마 ‘미지의 서울’ 첫회에서 주인공 미지가 일란성 쌍둥이 언니인 미래에게 ‘인생 체인지’를 제안하며 하는 말이다.

박보영이 1인2역 열연을 펼친 이 드라마는 미지와 미래가 남들 몰래 잠깐씩 서로의 삶을 바꿔 살며 벌어지는 이야기다.

겉으로 보면 똑같이 생겼지만 미지는 건강하고 운동을 잘하며 쾌활한 반면, 미래는 병약하고 공부를 잘하며 조용하다. 성격이 극과 극이고 잘하는 것도 다른 둘은 학창 시절 수학 숙제, 철봉 매달리기 등에서 남들 몰래 역할 바꿔치기를 하며 소소한 재미를 봤다.

이러한 바꿔치기는 어린 시절의 작은 사기행각에 머물지 않고 점차 ‘죽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박한 몸부림이 된다.

다분히 극적인 장치인데, 낳은 엄마조차 외관상으로는 구분하지 못할 정도로 둘이 닮았다는 설정이 바탕에 깔려 있다.

“인디고 Texas hold ’em, 성격도 비슷한 것으로 보고돼”
일란성 쌍둥이가 외모로 타인을 속이는 것은 어려워보이지 않는다. 실제로 남들이 식별하기 쉽도록 쌍둥이가 각자 헤어 스타일을 다르게 하거나 옷을 다르게 입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렇게 하지 않는다고 부모도 속일 수 있을까.

인디고 Texas hold ’em 김혜경 교수는 5일 “유아기나 어린 시절에는 외모가 거의 똑같기 때문에 부모조차 순간적으로 혼동할 수 있다”며 “초기에 손톱 매니큐어나 팔찌 등을 이용해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미묘한 표정, 말투, 행동 습관 등에서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가까이 지내는 가족들은 점차 구분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서울대 의과대학 A교수도 “간혹 아빠가 구별하지 못하는 경우는 있어도 보통 엄마는 구분한다”며 “주변 사람들이 구별 못 하는 경우는 흔하게 봤다”고 말했다.

미지, 미래와 달리 학계에서는 일란성 쌍둥이의 성격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A교수는 “일란성 쌍둥이는 한 개의 수정란이 두 개로 분열한 것이기에 유전적으로 같다”며 “학계에도 대개 성격이 비슷한 것으로 보고된다”고 밝혔다.

같은 유전자라도 발현되는 시기가 달라 차이가 생기기도 하지만 시기의 차이만 있을 뿐, 결국 비슷한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는 설명이다.

A교수는 “유전자가 동시에 발현되진 않는다”면서도 “결국 유전자는 같기에 쌍둥이가 서로 다른 집에 입양됐다 하더라도 취미나 배우자가 비슷하다는 경우를 봤다”고 말했다.

다만 학계 보고와는 상반되게 성격이 다른 일란성 쌍둥이도 존재한다.

김 교수는 “성격 형성에는 유전뿐 아니라 자라온 환경, 경험 등 다양한 요소가 영향을 미친다”며 “일란성 쌍둥이도 성격과 취향, 행동 방식이 달라지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미지와 미래는 목소리도 똑같은 것으로 설정됐다.

그러나 대검찰청과 서울대 언어연구소 이호영 교수팀의 ‘유사 음성식별기법 연구’에 따르면, 유전자가 동일한 일란성 쌍둥이라도 각각의 성문(聲紋) 차이가 뚜렷했다. 성문은 주파수 분석 장치를 이용해 음성을 줄무늬 모양의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손가락 지문처럼 사람마다 목소리 성문이 다르다.

오프라인에 인디고 텍사스홀덤 까지…네카토 전방위 맞불

핀테크 업체의 대표격인 이른바 ‘인디고 텍사스홀덤이 온라인 시장을 넘어 오프라인과 스테이블 코인까지 거침없이 영역을 확장하며 전방위에서 맞붙는 분위기다.

5일 ICT(정보통신기술) 업계에 따르면 인디고 텍사스홀덤이 일찌감치 단말기 결제 시장에 진출한 데 이어 네이버페이가 연내 오프라인 단말기 출시를 계획중이다.

토스페이는 2년전 가장 먼저 오프라인 전용 단말기를 내놓은 데 이어 최근에는 얼굴로 결제하는 페이스페이 시범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토스는 지난 2월 서울 일부 편의점에 페이스페이를 처음 선보인 데 이어 지난달부터는 카페, 음식점, 학원, 헬스장 등 서울 시내 가맹점 2만곳으로 서비스를 확대했다.

네이버페이의 경우 올 하반기 오프라인 단말기 ‘커넥트’ 출시를 계획중이다.

해당 단말기는 QR코드, 근고리무선통신(NFC), 얼굴인증 기반 ‘페이스 사인’ 결제까지 모든 기술을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박상진 네이버페이 대표는 최근 서비스 10주년 기자간담회에서 결제 뿐 아니라 예약, 주문, 리뷰 등 각종 서비스도 구현해 기존 단말기와 차별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박 대표는 “향후 새롭게 도입될 결제 기술도 모두 수용하는 디바이스로서 모든 가맹점이 가장 선도적인 결제·예약·주문 등 서비스를 방문객에게 비용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